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마트워치 혈압 기능, 신뢰해도 될까?

by 이 루 미 2025. 7. 30.
반응형

중장년층이나 고혈압 환자일 경우, 스마트워치 혈압 기능을 이용해 보세요.

스마트워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건강 관리 기능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특히 혈압 측정 기능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고 있는데요. 과연 스마트워치로 측정한 혈압 수치는 얼마나 정확할까요?

스마트워치 혈압 측정, 어떻게 작동할까?

스마트워치의 혈압 측정 기능은 대부분 광학 센서를 기반으로 합니다. 피부를 통과한 빛의 반사를 분석해 혈류 흐름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혈압 수치를 추정합니다. 흔히 PPG(광용적맥파 측정법)라는 기술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이 방식이 간접 측정이라는 점입니다. 즉, 병원에서 사용하는 커프(팔뚝 압박)를 통한 직접 측정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죠.

정확도는 얼마나 될까?

2023년과 2024년을 거치며 출시된 주요 스마트워치들은 혈압 기능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 보정을 도입했지만, 여전히 완벽하게 신뢰하긴 어렵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을 살펴보면 병원에서 측정한 혈압과 스마트워치 수치 간의 차이가 평균 5~10mmHg 정도 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엔 더 큰 오차가 발생하기도 하죠.

그래도 유용한 기능일까?

정확도에 대한 논란은 있지만, 스마트워치 혈압 기능이 '무의미'하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오히려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 ✔ 고혈압 병력이 있어 평소 혈압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분
  • ✔ 운동 전후 혈압 변화가 궁금한 분
  • ✔ 일상 중 스트레스나 수면의 영향을 확인하고 싶은 분

스마트워치로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자세에서 꾸준히 측정한 혈압 기록은 장기적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의료기기로 인증받은 제품도 있다?

국내에는 일부 스마트워치 제품이 식약처 의료기기 인증을 받은 사례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삼성 갤럭시 워치의 일부 모델은 특정 조건 하에서 혈압 측정 기능이 의료기기로 인정되었는데요. 다만, 이 역시 '정기적인 보정(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뢰하고 사용하려면 이렇게!

혈압 측정을 스마트워치에만 의존하지 말고, 정기적인 병원 방문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특히 스마트워치를 사용할 땐 다음의 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 최소 5분 이상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
  • 📌 항상 같은 팔, 같은 자세에서 측정
  • 📌 측정 전 카페인, 운동, 흡연은 피할 것
  • 📌 병원 혈압계와 비교해보며 오차 확인

마무리하며

스마트워치의 혈압 기능은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수는 있지만, 건강 관리의 습관을 들이는 데 있어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장년층이나 고혈압 전 단계의 사용자에게는 “나의 몸 상태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죠.

단, 의료기기와는 분명히 차이가 있으니, 스마트워치는 참고용, 병원은 진단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여러분은 스마트워치의 혈압 기능,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