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출처: 국토교통부·LH 공모 결과(2025-08-06~07 보도)
최근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전국 14곳에서 총 1,786 가구 규모의 맞춤형 ‘특화주택’을 공급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번 사업은 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등 다양한 계층의 주거 안정을 돕고, 생활 편의와 복지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형태의 공공임대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특화주택이란?
특화주택은 청년·고령자·신혼부부 등 특정 수요자에게 맞춘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으로, 주거공간에 더해 사회복지시설, 돌봄 공간, 공유 오피스 등 지원시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거주자의 생애주기·지역수요에 맞춘 설계가 핵심입니다.
1. 공급 유형과 가구 수
유형 | 가구 수 | 주요 대상/특징 |
---|---|---|
고령자복지주택 | 368가구 |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 대상, 안전손잡이·비상호출 등 편의설계 + 복지·돌봄 연계 |
청년특화주택 | 176가구 | 청년·신혼부부·사회초년생, 저렴한 임대료 + 공유주방·스터디룸 등 |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 159가구 | 근로자·창업가 등 대상, 직주근접 + 공유업무공간·취업지원 |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 1,083가구 | 지자체가 지역 수요 반영해 설계·제안, 맞춤 편의시설 포함 |
※ 위 수치는 2025년 8월 초 공모 결과 기준입니다.
2. 지역별 핵심 포인트
- 경기 부천(대장지구) 741가구 — 부모·자녀 세대 동반 거주 가능, 일부 물량은 중산층까지 입주 범위 확대.
- 울산 286가구 — 고령자복지 214, 청년 36, 일자리연계 36.
- 강원 삼척 100가구 — 탄광 근로자·대학(도계) 학생 수요 반영, 멘토링·상담 프로그램 연계.
- 경기 동두천 210가구 — 청년·신혼부부 중심, 역세권 인근 입지.
- 경기 포천 32가구 — 청년 군무원 등 직주근접형.
- 전북 부안 100가구 / 고창 40가구 — 청년특화 위주.
- 제주 54가구 — 고령자복지 위주, 지역 의료·복지 연계.
3. 왜 주목할까요?
- 생활 편의 ↑ : 복지·돌봄·취업지원 등 단지 내·근접 연계.
- 비용 부담 ↓ :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유형별 상이).
- 맞춤 설계 : 고령자 안전사양, 청년 공유공간 등 대상별 특화.
- 지역 맞춤 : 지자체 제안형으로 지역 특성·수요 반영.
4. 신청 방법과 일정은?
모집 시기·신청 방법·임대조건은 지역·유형별로 상이합니다. 아래 공식 채널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 LH 청약센터: apply.lh.or.kr
- 국토교통부 정책소식: korea.kr
💡 팁: 공고가 뜨면 모집 공고문(PDF)에서 대상자 요건(소득·자산), 임대조건, 가점·우선순위, 제출서류, 현장접수 여부 등을 먼저 확인하세요.
5. 지역별 문의·검색 포털
아래 링크는 각 지자체 주택·건축 관련 페이지의 대표 진입처입니다.
- 부천시: bucheon.go.kr
- 동두천시: ddc.go.kr
- 삼척시: samcheok.go.kr
- 포천시: pocheon.go.kr
- 광명시: gm.go.kr
- 부안군: buan.go.kr
- 고창군: gochang.go.kr
- 울산시: ulsan.go.kr
- 제주특별자치도: jeju.go.kr
6. 체크리스트 (모집 공고 뜨기 전)
- 가구 구성·소득·자산 기준이 유형별로 다름 → 최근 공고 기준 확인
- 청약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 미리 완료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자산 증빙 등 증빙서류 사전 준비
- 현장접수·온라인 접수 여부, 방문예약 필요 여부 확인
* 본 글의 내용은 향후 정부 정책 발표나 지자체 계획 변경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내용이 발표 되면 다시 업데이트하여 올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