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찬바람이 부는 계절, 김장을 준비하는 마음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풍경이 있습니다. 엄마들은 김장 걱정으로 분주해지고, 배추를 절일 시기와 양념 재료를 고민하죠. 김장은 단순한 집안일이 아니라, 한 해를 마무리하며 가족의 건강과 정성을 담는 우리 고유의 정서입니다. 요즘은 김장을 직접 담그는 집이 줄었지만, 이 전통을 배우고 느낄 수 있는 뜻깊은 기회가 인천에서 열립니다. 바로 ‘대한민국 김장문화축제’입니다.
2025년 11월 14일부터 16일까지 인천항 8 부두 상상플랫폼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는 김치를 담그는 전통을 계승하고, 나눔의 가치를 되새기는 전국 규모의 김장 행사입니다. 사전 주문 기간은 10월 27일부터 11월 13일까지로, 배추·양념·김치 완제품 등 다양한 구성을 저렴하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 1. 김치값 폭등 시대, 합리적인 김장 기회
요즘은 김치를 직접 담그는 가정이 점점 줄고 있습니다. 배추, 마늘, 고춧가루 등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김장을 포기하는 가정도 많아졌죠. 이 축제는 그런 시민들을 위해 공급가 수준의 김장 재료를 제공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인천시가 협력해 국산 절임배추, 신안 천일염, 품질 인증 양념 재료를 준비해 시민들이 부담 없이 김장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배추 작황이 불안정해 김장비용이 부담되는 시기라 이 축제를 통해 공동구매처럼 합리적으로 준비하려는 참여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가격뿐 아니라 품질 관리도 철저하게 이뤄져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김장 재료’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 2. 김장문화의 변화와 세대 간 연결
김장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세대를 이어주는 문화의 끈입니다. 예전에는 이웃이 함께 모여 손을 맞잡고 김치를 담갔지만, 이제는 도시의 변화와 함께 그런 풍경을 보기 어려워졌죠. 김장문화축제는 그 전통을 다시 잇는 자리입니다. 아이들은 김치를 담그는 과정을 보며 부모 세대의 삶과 정서를 배우고, 어른들은 잊고 지냈던 정겨운 풍경을 다시 떠올립니다. 결국 이 축제는 세대가 공감하고 함께 배우는 전통 교육의 장이자, 김장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입니다.
🌎 3. 김치, 세계 속의 K-푸드로 자리 잡다
김치는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K-푸드의 상징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UNESCO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김장은 단순한 조리 과정이 아니라 협동과 나눔의 문화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번 축제에서도 김치의 역사와 과학적 우수성을 알리는 전시와 외국인 대상 체험 프로그램이 함께 열릴 예정입니다.
특히 인천항은 해외와 연결된 도시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큽니다. 김치가 세계로 수출되는 항만에서 열리는 이 행사는 전통이 세계로 나아가는 통로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국내 방문객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김장’이라는 단어가 한국의 따뜻한 정서를 전달하는 기회가 됩니다.
💞 4. 나눔으로 완성되는 진짜 김장
김장은 본래 함께 담그고 함께 나누는 문화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축제의 핵심 역시 나눔입니다. 행사에서 담근 김치의 일부는 지역 복지시설과 독거 어르신, 저소득 가정에 전달되어 겨울철 반찬으로 쓰입니다. 뿐만 아니라 시민, 학생,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참여해 도시 전체가 따뜻함을 나누는 사회공헌 행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김치 한 포기를 담그는 손길마다 누군가의 겨울을 걱정하는 마음이 담깁니다. 그 마음들이 모여 인천항의 찬 바람 속에서도 따뜻한 온기를 전하는 진짜 김장이 완성됩니다.
🚗 방문 정보
- 행사기간: 2025.11.14(금) ~ 11.16(일)
- 사전주문: 2025.10.27(월) ~ 11.13(목)
- 장소: 인천항 8 부두 상상플랫폼
- 문의: 1544-6540
- 교통: 인천역 도보 10분 거리 (주차 공간 제한, 대중교통 권장)
🥬 제11회 대한민국 김장문화축제 | 찬바람 속 따뜻한 나눔의 시간 | 인천항 8 부두 상상플랫폼